[일본문화] 세쓰분(節分)

2월 3일은 일본에서 세츠분(節分)으로, "복은 안으로, 귀신은 밖으로!"라는 구호와 함께 마메마키(豆まき), 즉 콩 뿌리기를 하는 날로 유명하다. 원래 세츠분은 계절이 바뀌는 시기를 의미하며, 봄, 여름, 가을, 겨울의 시작을 나타내는 네 개의 절기(입춘, 입하, 입추, 입동)를 의미했다. 따라서 원래는 1년에 네 번 있었으나, 현재는 주로 입춘 전날인 2월 3일을 가리킨다. 이 날이 음력 새해와 가까워지면서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는 중요한 행사로 자리 잡았다. 세츠분은 원래 츠이나(追儺)라는 중국에서 전래된 액막이 풍습에서 기원하며, 일본 헤이안(平安) 시대에 궁중 행사로 자리 잡았다. 이 풍습은 입춘 전날, 귀신을 쫓아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의식으로, 눈이 네 개 있는 가면을 쓴 사람이 호소시(方相氏)라는 역할을 맡아 화살로 귀신을 쫓아내는 의식이었다. 이 의식은 점차 일본 전역에 퍼지며 콩을 뿌려 귀신을 몰아내고 복을 부르는 행사로 발전했다. 현재도 교토의 헤이안신궁(平安神宮)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의 츠이나 행사가 매년 열린다. 왜 콩을 사용하는가? 세츠분에서 사용하는 콩, 특히 대두(大豆)는 강한 생명력을 상징한다. 대두는 싹이 나면 매우 기세 좋게 자라는 특성 때문에,...